티스토리 뷰
목각류(木 Wood)는 피쿨레(picule), wryneck( sneck), 삽수커(sapsucker) 등으로 구성된 근패류조류( near)의 무리인 피케리과( Pic)과에 속한다. 이 가족의 구성원들은 호주, 뉴기니, 뉴질랜드, 마다가스카르, 극지방 지역을 제외하고는 전세계적으로 발견된다. 대부분의 종들은 숲이나 삼림 서식지에 살고 있지만, 바위산맥이나 사막과 같은 나무가 없는 지역에 살고 있는 종은 알려져 있고, 길라 딱따구리는 선인장을 착취하는 데 특화된 종이다.
이 가족의 구성원들은 주로 그들의 특징적인 행동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나무 줄기와 나뭇가지에 있는 곤충을 찾아다니며, 부리로 북을 치며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가 많아,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서 들을 수 있는 반향음을 만들어 낸다. 어떤 종들은 과일, 새알, 작은 동물, 그리고 나무 수액에 따라 식단을 바꾼다. 그들은 대부분 나무 줄기에서 발굴한 구멍에 둥지를 틀고 어슬렁거리는데, 그들의 버려진 구멍은 다른 충치를 가장하는 새들에게 중요하다. 건물에 구멍을 내거나 과일 작물을 먹일 때 인간과 갈등을 빚기도 하지만 나무에 해충을 제거하는 등 유익한 봉사를 하기도 한다.
피카소는 피코미메스 순서에 따라 9개의 살아있는 가족 중 하나이며, 나머지는 바베트(삼족으로 구성된 바베트), 투우칸 바베트, 허니게이드(목각과 함께)로 구성되어 있으며, 클레이드 갈불리의 자카마르와 퍼프버드(Jacamars and puffbird DNA 서열을 통해 이 두 그룹의 자매 관계가 확인되었다. 피키아과는 35세대에 배열된 240여 종을 포함한다. 거의 20종의 생물들이 서식지 파괴나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데, 한 종은 버뮤다 플리커로 멸종되고 또 다른 두 종은 멸종될 가능성이 있다.
목각류는 길이 7cm(2.8인치) 이하, 무게 7g(0.25oz) 이하의 작은 소각류부터 길이 50cm(20인치) 이하의 대형 목각류까지 다양하다. 현존하는 가장 큰 종은 360–563g(12.7–19.9 oz)의 무게가 나가는 거대한 슬래티 딱정벌레지만, 아마도 멸종된 황실 딱정벌레와 상아로 만든 딱정벌레는 둘 다 더 컸을 것이다.[1]
딱따구리의 깃털은 드랍마다 다르다. 많은 종의 색은 올리브색과 갈색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어떤 종은 위장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어떤 종은 검은색, 흰색, 빨간색으로 대담하게 무늬가 있으며, 많은 종은 왕관 위에 볏이나 텁수룩한 깃털을 가지고 있다. 목공들은 성적으로 변성하는 경향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성별의 차이는 작다; 이것의 예외는 윌리엄슨의 삽스커와 주황색 등이 있는 딱따구리인데, 이 점이 두드러지게 다르다. 매화는 번식하기 전에 부분적인 연체동물을 추가로 가지고 있는 쐐기풀과는 별도로 1년에 한 번 완전히 물들인다.[2]
목각, 피쿠레, wry쇠는 모두 4개의 발가락, 1번째(할룩스), 4번째는 뒤로 향하고 2번째와 3번째는 앞으로 향하는 특징적인 지오닥틸 발을 가지고 있다. 이 발 배열은 사지와 나무 줄기를 잡는데 좋다. 이 가족의 구성원들은 나무 줄기를 수직으로 걸어 올라갈 수 있는데, 이것은 먹이 사냥이나 둥지 발굴과 같은 활동에 이롭다. 딱따구리는 튼튼한 발톱과 발 이외에도 짧고 튼튼한 다리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정기적으로 트렁크를 찾아다니는 새들의 전형이다. 발마다 발가락이 세 개밖에 없는 검은 등딱지 딱따구리와 미국과 유라시아의 세 개의 발가락이 달린 딱따구리는 예외다. 피쿠레와 wry네크를 제외한 모든 딱따구리들의 꼬리는 단단해지며, 새가 수직면에 내려앉으면 꼬리와 발이 힘을 합쳐 지탱한다.[1]
목각에는 나무에 구멍을 내고 북을 치는 강력한 지폐가 있고, 음식물(곤충과 유충)을 추출하기 위한 길고 끈적끈적한 혀가 있다.[1] 딱따구리 지폐는 전형적으로 피쿨레와 wry니크 지폐보다 길고 날카로우며 강하지만, 형태학은 매우 비슷하다. 지폐의 끌처럼 생긴 끝은 나무에 규칙적으로 사용하는 새들의 쪼는 작용에 의해 날카롭게 유지된다. 부리는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라틴 단백질로 형성된 비늘로 만들어진 람포테카라고 불리는 외피, 큰 공동과 미네랄화된 콜라겐 섬유를 가진 뼈의 안쪽 층, 그리고 다른 두 층을 연결하는 다공성 뼈로 만들어진 중간 층. 게다가 딱따구리의 혀뼈(혹은 효이드 뼈)는 매우 길고, 특별한 구멍을 통해 두개골 주위를 감아 뇌가 이완된다.[3] 이 해부학은 부리가 기계적 스트레스를 흡수하도록 돕는다.[4] 정기적인 망치질이 아닌 흙이나 탐사에 그들의 지폐를 사용하는 딱따구리 종과 플리커 종은 더 길고 더 많은 해독된 지폐를 가지고 있는 경향이 있다. 지폐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많은 소풍나무와 쐐기풀은 나무껍질보다 더 자주 썩어가는 나무에서 찾아다닐 것이다. 털을 가진 그들의 길고 끈적끈적한 혀는 이 새들이 나무 구멍 속 깊은 곳에서 곤충을 잡아채고 추출하는 것을 돕는다. 혀가 창으로 찌르는 데 사용되었다고 보도되었지만, 2004년에 발표된 좀더 자세한 연구 결과, 혀가 뽑히기 전에 대신 먹이를 감싸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딱따구리의 많은 사냥, 번식, 신호 행동들은 지폐를 이용한 북치기, 망치치기 등을 포함한다.[6] 빠르고 반복적인 강력한 충격으로 인한 뇌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딱따구리는 뇌를 보호하는 여러 가지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7] 여기에는 상대적으로 작고 매끄러운 뇌, 좁은 경막하 공간, 쪼는 동안 두개골 내부에서 앞뒤로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해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작은 뇌척수(CSF), 두개골 내의 뇌의 방향(뇌와 두개골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는 것) 및 짧은 접촉기간이 포함된다. 두개골은 튼튼하지만 압축이 가능한 스펀지 모양의 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뼈는 이마와 두개골 뒷면에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다.[7] 딱따구리의 또 다른 해부학적 각색은 오른쪽 콧구멍으로 끝나기 전에 척수 기둥의 양쪽을 분할하고, 뇌 케이스를 감싸는 엄청나게 길어진 효이드 뼈다. 그것은 안전벨트의 역할을 한다.[8]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쪼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99.7%가 변형 에너지의 형태로 저장되는데, 이는 새의 몸 전체에 분포하며, 나머지 에너지의 극히 일부만이 뇌로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쪼는 것은 딱따구리의 두개골을 뜨겁게 하는 원인이 되는데, 이것은 그들이 종종 짧은 틈으로 짧은 파열음을 내며 쪼아대는 이유의 일부로서 머리가 식을 수 있는 시간을 준다.[9] 목재와 접촉하기 전 1밀리초 동안, 두껍게 된 흡착막이 닫히면서 날아오는 잔해로부터 눈을 보호한다.[10] 이러한 막은 망막이 찢어지는 것도 막는다. 콧구멍도 보호된다. 콧구멍은 종종 미끄러짐과 같고 그것을 덮기 위한 특별한 깃털을 가지고 있다. 목공들은 1만 m/s2(33,000 ft/s2)(1000 g)의 순서로 높은 감속도로 나무에 반복적으로 쪼을 수 있다.[11]
드라이코퍼스와 같은 일부 대형 딱정벌레는 빠르고 직접적인 비행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종은 일련의 급속한 플랩에 이어 회전 활공 활주기로 구성된 전형적인 무절제 비행 패턴을 가지고 있다. 멜라네르페스 종의 많은 새들은 특징적이고 노를 젓는 날개짓을 하는 반면 피쿨레들은 빠른 직항 비행을 짧은 시간 동안 한다.
목공들은 오스트랄라시아, 마다가스카르, 남극대륙에는 없지만 대부분 국제 분포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또한 대륙 섬에서 많은 섬들이 발견되지만, 세계의 해양 섬들 중 일부에 결석하고 있다. 진짜 딱따구리, 하위 패밀리 피키네는 가족 전체 범위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피코미나 피쿠레는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네오트로픽에 있는 종들과 함께 남미에 있는 가장 많은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피쿨렛 하위 가족인 네소크티네에는 카리브해의 히스파니올라 섬으로 제한되어 있는 안틸렌 피쿨렛이라는 싱글 멤버가 있다. 진기네크(Jynginae)는 구세계에서만 발견되며, 이 두 종은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발생한다.[13]
대부분의 딱정벌레는 좌식동물이지만, 루푸스배 딱정벌레와 황배 꼬투리 삽커[13], 유라시아의 씁쓸한 목종류 등이 유럽과 서아시아에 서식하며 겨울에 아프리카의 사헬로 이주한다.[14] 북아메리카에서 가을에는 루이스의 딱따구리, 북방 플리커, 윌리엄슨의 삽자루, 붉은 가슴의 삽자루, 붉은 털의 삽자루의 북쪽 인구가 모두 남쪽으로 이동한다.[13] 대부분의 딱따구리의 움직임은 어린 새들이 혹독한 기후 조건을 피해 발육, 또는 폭발한 후에 영토를 찾는 경우와 같이 분산적인 것으로 묘사될 수 있다. 몇몇 종들은 고도 이주민들인데, 예를 들어 회색에 싸인 딱따구리는 겨울 동안 언덕에서 저지대로 이동한다. 낮에 이주하는 딱따구리는 그렇게 한다.
전체적으로 딱따구리는 숲이 우거진 서식지의 수목새다. 그들은 열대 우림에서 가장 다양한 지역에 도달하지만 삼림, 사바나, 스크럽랜드, 대나무 숲을 포함한 거의 모든 적절한 서식지에서 발생한다. 심지어 초원과 사막도 다양한 종에 의해 식민지화되었다. 이 서식지는 적은 수의 나무들이 존재하는 곳에 더 쉽게 점유되거나, 길라 딱따구리와 같은 사막 종의 경우, 둥지를 틀 수 있는 키 큰 선인장이 있다.[15] 전문가로 침엽수 또는 낙엽수 삼림지대 또는 도토리 목각수처럼 개별 수목생성(이 경우 기름)과 연관되어 있는 것도 있다. 다른 종들은 일반론자들이며 이차적인 성장, 식물, 과수원, 공원을 이용함으로써 숲의 간극에 적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숲에 사는 종들은 썩거나 죽은 나무가 있어야 한다.[16]
많은 종들이 그들의 시간의 일정 부분을 땅 위에서 먹이로 보내는 데 적응하고 있으며, 아주 소수의 종들은 나무를 완전히 버리고 땅에 구멍에 둥지를 틀었다. 땅 딱따구리는 그런 종으로 남아프리카의 바위투성이와 풀이 우거진 언덕에 서식하고 있으며[17] 안데스 플리커는 또 다른 종이다.[16]
스위스 조류학연구소는 삼림조류의 번식률을 기록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설치했다. 이것은 죽은 나무가 검은 딱정벌레, 큰 얼룩무늬 딱정벌레, 중간 얼룩무늬 딱정벌레, 작은 얼룩무늬 딱정벌레, 유럽 녹색 딱정벌레, 유라시아산 3발 딱정벌레에게 중요한 서식지임을 보여주었다. 이 모든 종의 개체수는 1990년에서 2008년까지의 기간 동안 다양한 양으로 증가하였다. 이 기간 동안 숲의 데드우드의 양이 증가하였고, 동쪽으로 뻗으면서 흰 등나무집게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녹색과 중간 점박이 딱따구리를 제외하면, 죽은 나무의 양 증가가 이들 종의 개체수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이 될 것 같다.
대부분의 딱따구리는 혼자 살고 있지만 행동의 범위는 자기 종류를 향해 공격적인 매우 반사회적인 종에서 집단으로 사는 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단일 생물 종은 흰개미 군락이나 과일 적재 나무와 같은 먹이는 자원을 방어할 것이며, 다른 영사관들을 쫓아내고 자원이 고갈될 때까지 자주 돌아올 것이다. 공격적인 행동에는 빌 포인팅과 재봉, 머리 흔들기, 날개 흔들기, 추격, 북치기, 발성 등이 있다. 의식적인 행동은 보통 접촉으로 이어지지 않으며 새들은 논쟁을 재개하기 전에 잠시 동안 "동결"할 수도 있다. 색깔 있는 조각들은 과시될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적대적 행동들이 구애 의식과 유사하다.[19]
집단생활을 하는 종들은 공동 집단 사육하는 경향이 있다.[19] 이러한 종들 외에도, 많은 종들이 다른 식충류 새들과 잡종 사냥에 합류할 수 있다. 비록 그들은 이 무리들의 가장자리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 이 양떼에 합류하면 목공들이 사육방지 경계심을 낮추고 먹이 공급률을 높일 수 있다.[20] 목각류는 주근깨로, 야간에 구멍과 틈새 안에서 뒹굴고 있다. 많은 종에서, 수탉은 번식기에 둥지 부지가 될 것이지만, 어떤 종에서는 그들은 별도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회색과 버프 딱따구리는 둥지 부지와는 상당히 다른 몇몇 얕은 구멍을 만든다. 대부분의 새들은 혼자서 어슬렁거리고 그들이 선택한 장소에서 침입자들을 쫓아낼 것이지만, 마젤란 목각과 도토리 목각원숭이는 협력적인 수탉이다.
드러밍(Drumming)은 대부분의 딱따구리 종들이 사용하는 비 보컬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로서, 이 법안이 매우 빠른 속도로 단단한 표면에 반복적으로 부딪히는 것을 포함한다. 잠시 멈추면 드럼롤이 반복되는데, 각 종은 롤의 비트 수, 롤의 길이, 롤과 생도 사이의 간격 길이에서 독특한 패턴을 가진다. 북소리는 주로 행인의 노래에 해당하는 영토적 호명인데, 수컷 새들이 암컷보다 더 자주 북을 친다.[21] 목공들은 움푹 들어간 나무와 같이 공명하는 표면을 선택하고, 시궁창이나 폭우 같은 인공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22] 드러밍은 영사관의 상호인식을 위해 봉사하며 구애 의식에 한 몫을 한다. 개개의 새들은 그들의 동료와 이웃들의 북소리를 구별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동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작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9.12.03 |
---|---|
올빼미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9.12.03 |
펭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9.12.03 |
독수리에 대해 알아보자 (1) | 2019.12.03 |
기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9.11.12 |